로마 제국의 야망과 이베리아 반도 로마 제국은 기원전 3세기부터 이베리아 반도의 정복을 꿈꾸고 있었다. 이베리아 반도는 그 당시 다양한 민족들이 살고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민족은 켈티베리아인 과 루시타니아인 이었다. 이들은 로마의 강력한 군사력에 맞서 자신들의 땅을 지키려 했으며, 특히 루시타니아의 지도자인 비리아투스 는 그 과정에서 전설적인 저항을 이끌었다. 루시타니아인과 비리아투스의 반란 루시타니아인은 현재 포르투갈과 서부 스페인에 해당하는 지역에 살던 부족으로, 로마의 침략에 강력한 저항을 펼쳤다. 이들을 이끈 지도자 비리아투스는 로마군을 상대로 연속적인 승리를 거두며 로마의 전략가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비리아투스는 기습과 유연한 전술로 유명했으며, 특히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로마군을 혼란에 빠뜨렸다. 그의 리더십은 로마 제국이 감당하기 어려운 강력한 도전을 제시했다. 하지만 비리아투스의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다. 로마는 그에게 직접 맞서 싸우는 대신 배신을 이용한 암살 을 선택했다. 비리아투스의 부하들이 로마의 회유를 받아 그를 살해하자 루시타니아인의 저항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켈티베리아인의 저항: 누만티아의 포위전 루시타니아인의 저항과는 별도로 이베리아 내륙의 켈티베리아인들도 로마에 맞서 강력히 저항했다. 그 중심에는 누만티아 라는 도시가 있었다. 켈티베리아인의 수도격이었던 누만티아는 로마군에 맞서 20년간 끈질기게 싸웠으며, 로마는 이 도시를 정복하기 위해 여러 차례 군대를 파견했다. 하지만 매번 실패로 돌아갔고, 결국 로마는 기원전 134년에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 장군을 보내 이 도시를 철저히 포위하는 방법을 택했다. 스키피오는 고립 전술 을 통해 도시를 서서히 말려 죽이려 했다. 물자 보급이 끊긴 누만티아는 점점 쇠약해졌고, 끝내 기원전 133년에 항복을 하게 된다. 그러나 누만티아인들은 패배를 받아들이기보다 집단 자살을 선택하며 로마에 대한 최후의 저항을 보여 주었다. 로마의 정복과 문화적 충돌 이베리아 반도의 정복은 단순한 ...